추천사이트

통합연금포털 사이트 가입과 내 연금 한번에 확인하는 법

2020. 10. 17.

요즘은 금융 앱마다 오픈뱅킹이 적용되어서 다른 은행에 있는 자금까지 한 번에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2015년 통합연금포털 사이트가 생긴 이후로 개인별 연금 수령액과 연금 종류, 평가액, 적립금, 추정 납입액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통합연금포털 사이트 가입과 연금정보 조회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지금은 100세 시대! 내 연금관리가 중요합니다.

통합연금포털 사이트란?

통합연금포털은 금융감독원에서 관리하는 연금 관련 총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곳입니다. 노후를 대비하여 재무를 설계하고 내가 가입한 연금을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 연금상품에 대한 비교공시, 연금저축과 퇴직연금, 연금의 세제혜택까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럼 통합연금포털 사이트에 한번 가입해볼까요?

 

통합연금포털 사이트 가입 방법

홈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회원가입을 누릅니다. 첫 단계로 연금정보 통합조회 서비스 신청서가 나오는데요. 신청하지 않음을 누르면 가입을 할 수 없습니다. 신청을 눌러서 아래 화면으로 내려보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실명인증을 한 뒤 본인인증을 할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 또는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가 필요한데요. 휴대전화 인증으로 가입해보겠습니다.

서비스 신청과 이용동의에 동의를 해야합니다.

통신사와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인증번호가 문자로 옵니다. 문자의 인증번호를 입력 칸에 입력합니다. 다음 회원정보 입력화면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 이메일 등을 입력하면 가입이 완료됩니다. 비밀번호는 영문과 숫자, 특수문자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입력할 수 있는 특수문자는 제한적이니 회원가입 시 확인하셔서 비밀번호를 지정하셔야겠습니다.

공인인증서와 휴대폰 인증 중 하나를 골라 본인인증을 합니다.

가입한 아이디로 로그인하면 연금정보를 조회해볼 수 있는데요. 통합연금포털 사이트 가입 당일 바로 확인은 되지 않고 정보조회 가능한 날짜까지 주말 제외 약 5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연금정보 16일에 가입했더니 조회 가능일자가 21일이라고 나오네요. 통합연금포털 사이트의 로그인 유지시간은 10분으로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10분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연금정보 조회가 가능하기까지 가입하고 시일이 걸립니다.

연금 관련 세금 부과 확인방법

연금의 세금제도는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으로 구분되는데요. 종합소득 과세표준에 따라 세액공제 한도와 세율이 달라지니 통합연금포털을 통해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퇴직연금의 세금제도의 경우 연금수령 형태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지게 됩니다. 통합연금포털에서 간편 세금계산 페이지도 운영하고 있으니 내 연금에 대한 세금이 궁금하다면 간편 세금계산 페이지를 활용해보세요. 로그인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연금포털 사이트

개인연금, 퇴직연금, 국민연금을 합한 국내 연금 가입액의 총합은 2019년 말을 기준으로 1309조 원입니다. 통합연금포털에 가입하면 뱅크샐러드 등 금융앱에서도 아이디 연동을 통해 내 연금정보를 금세 조회할 수 있습니다. 통합연금포털 사이트 가입을 통해 연금 비교와 가입내역 확인하셔서 세액공제도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추천 글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밴드